노후 준비를 막막하게 느끼는 국민이 적지 않다. 자신보다 먼저 은퇴한 국민연금 가입자는 연금을 어디에 쓰는지, 노후 생활에 실제 도움이 되는지를 궁금해한다.
본보가 국민연금을 매달 100만 원 이상 받는 가입자 1092명을 대상으로 생활 및 연금 사용 방식을 국민연금공단과 함께 분석했더니 ‘매우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56%(608명),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42%(456명)로 대부분 만족했다. 하지만 여가생활이나 자녀를 돕기에는 국민연금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을 매달 100만 원 이상 받는 가입자는 1만8688명으로 전체 수급자의 0.6%뿐이다. 은퇴자 중에서는 상위계층이라고 할 수 있다. 고액 수령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분석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은 대부분 연금에 만족했는데, 나이가 들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도움이 안 된다는 대답은 60대 이하에서 4%, 60∼65세는 2%였지만 66세 이상은 모두 만족했다.
강신복 국민연금공단 급여기획부장은 “최근에는 50대에 직장을 그만둔 뒤 제2의 직장을 갖는 경우도 많은데 66세 이상은 그것마저 그만두기 시작하는 시기”라고 설명했다. 즉 나이가 들수록 다른 곳에서는 돈이 나오지 않는 만큼 상대적으로 연금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질 수 있다. 반면 60대 초반은 자녀 결혼 등으로 돈을 쓸 곳이 많아 같은 액수라도 만족도가 다르게 나온 것으로 공단은 추정했다.
▼ 98%가 “연금, 도움된다” 답했지만 여가생활에 쓸 수 있는 돈은 7%뿐 ▼
받은 연금은 어떻게 쓰고 있을까. 수령액을 평균 100만 원으로 가정할 경우, 항목별로 얼마나 쓰는지 조사했더니 65만 원 정도가 기본생활비였다. 식비 관리비 통신비 의복비 전기요금 등 기본적인 의식주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비용이다. 장모 씨(65·여)는 “나이를 먹으면 돈 쓸 일이 뭐가 있냐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물가는 계속 오른다는 점이 부담”이라고 설명했다. 장 씨 부부는 둘만 살지만, 부식비 의복비 전기료 수도료 등을 내고 나면 80만 원이 통장에서 빠져나간다. 자식들이 결혼하고, 장례도 많아지는 만큼 경조사비로도 16%가 나갔다. 의료비 8%까지 합하면 89%에 달한다.
국민연금을 월 100만 원 이상 받는 가입자는 은퇴하기 전에 대부분 고소득자였다. 이들은 개인연금저축을 따로 들었을 가능성도 가장 높다.
하지만 이들조차도 경제적으로 여유 있게 노후를 보내는 경우는 적었다. 국민연금 중 7%를 여가생활, 2%를 자녀 지원, 1%를 저축에 사용했다. 다시 말해 100만 원 받으면 ‘나를 위해’ 쓸 수 있는 돈은 8만 원밖에 안 된다는 소리다. 국민연금 가입자 중 상위 0.6%에서도 여유롭게 연금을 쓰기는 쉽지 않은 셈이다.
노후 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연금 이외에 소득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갈렸다. 나모 씨(61)는 국민연금이 매달 100만 원 이상 나오지만 전업주부인 부인의 노후 대책을 제대로 마련하지 못했다. 그는 “부부가 100만 원으로 생활하려고 하니 너무 빠듯하다. 이거라도 있어 다행이라는 생각도 있지만 부족함을 많이 느낀다”고 토로했다. 반면 부부가 같이 국민연금을 준비하고 개인적으로 사적연금을 들었던 박모 씨(65)는 “매우 만족한다”고 말했다.
고액 수령자가 이 정도라면 이보다 연금액이 적은 대부분의 가입자는 노후를 불안한 상태에서 보내야 한다. 최영기 경기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은 “이제 한국사회의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다”고 전제한 뒤 “자식 교육에 다걸기(올인)하느라 나를 위해서는 아무런 준비도 안 된 중년 세대도 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노지현 기자 isityou@donga.com
본보가 국민연금을 매달 100만 원 이상 받는 가입자 1092명을 대상으로 생활 및 연금 사용 방식을 국민연금공단과 함께 분석했더니 ‘매우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56%(608명),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42%(456명)로 대부분 만족했다. 하지만 여가생활이나 자녀를 돕기에는 국민연금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을 매달 100만 원 이상 받는 가입자는 1만8688명으로 전체 수급자의 0.6%뿐이다. 은퇴자 중에서는 상위계층이라고 할 수 있다. 고액 수령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분석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은 대부분 연금에 만족했는데, 나이가 들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도움이 안 된다는 대답은 60대 이하에서 4%, 60∼65세는 2%였지만 66세 이상은 모두 만족했다.
강신복 국민연금공단 급여기획부장은 “최근에는 50대에 직장을 그만둔 뒤 제2의 직장을 갖는 경우도 많은데 66세 이상은 그것마저 그만두기 시작하는 시기”라고 설명했다. 즉 나이가 들수록 다른 곳에서는 돈이 나오지 않는 만큼 상대적으로 연금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질 수 있다. 반면 60대 초반은 자녀 결혼 등으로 돈을 쓸 곳이 많아 같은 액수라도 만족도가 다르게 나온 것으로 공단은 추정했다.
▼ 98%가 “연금, 도움된다” 답했지만 여가생활에 쓸 수 있는 돈은 7%뿐 ▼
받은 연금은 어떻게 쓰고 있을까. 수령액을 평균 100만 원으로 가정할 경우, 항목별로 얼마나 쓰는지 조사했더니 65만 원 정도가 기본생활비였다. 식비 관리비 통신비 의복비 전기요금 등 기본적인 의식주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비용이다. 장모 씨(65·여)는 “나이를 먹으면 돈 쓸 일이 뭐가 있냐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물가는 계속 오른다는 점이 부담”이라고 설명했다. 장 씨 부부는 둘만 살지만, 부식비 의복비 전기료 수도료 등을 내고 나면 80만 원이 통장에서 빠져나간다. 자식들이 결혼하고, 장례도 많아지는 만큼 경조사비로도 16%가 나갔다. 의료비 8%까지 합하면 89%에 달한다.
국민연금을 월 100만 원 이상 받는 가입자는 은퇴하기 전에 대부분 고소득자였다. 이들은 개인연금저축을 따로 들었을 가능성도 가장 높다.
하지만 이들조차도 경제적으로 여유 있게 노후를 보내는 경우는 적었다. 국민연금 중 7%를 여가생활, 2%를 자녀 지원, 1%를 저축에 사용했다. 다시 말해 100만 원 받으면 ‘나를 위해’ 쓸 수 있는 돈은 8만 원밖에 안 된다는 소리다. 국민연금 가입자 중 상위 0.6%에서도 여유롭게 연금을 쓰기는 쉽지 않은 셈이다.
노후 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연금 이외에 소득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갈렸다. 나모 씨(61)는 국민연금이 매달 100만 원 이상 나오지만 전업주부인 부인의 노후 대책을 제대로 마련하지 못했다. 그는 “부부가 100만 원으로 생활하려고 하니 너무 빠듯하다. 이거라도 있어 다행이라는 생각도 있지만 부족함을 많이 느낀다”고 토로했다. 반면 부부가 같이 국민연금을 준비하고 개인적으로 사적연금을 들었던 박모 씨(65)는 “매우 만족한다”고 말했다.
고액 수령자가 이 정도라면 이보다 연금액이 적은 대부분의 가입자는 노후를 불안한 상태에서 보내야 한다. 최영기 경기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은 “이제 한국사회의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다”고 전제한 뒤 “자식 교육에 다걸기(올인)하느라 나를 위해서는 아무런 준비도 안 된 중년 세대도 현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노지현 기자 isityou@donga.com
'제2의 인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람직한 노후생활 / 사람이 늙어가면서 5가지를 잃는다 (0) | 2012.09.26 |
---|---|
[사설]‘반값 급여’ 70세 고용 의미 있다 (0) | 2012.09.13 |
<성공! 인생 후반전> 은퇴에 대한 진실과 오해<2012.8.22.수.EBS.06:34> - 오재룡 소장 (0) | 2012.09.01 |
[100세 시대, 내 인생 한번 더]<하> 60, 70, 80대 노후의 ‘노하우’ (0) | 2012.01.09 |
[100세 시대, 내 인생 한번 더]<상> 노인끼리도 세대차이 확연 (0) | 2012.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