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컬처 IN 메트로]운치있는 고급 한옥 TV에 나왔다 하면 여기

늦은 밤 불을 밝힌 락고재. ‘옛것을 즐기는 집’이란 뜻처럼 락고재에 가면 140년 된 한옥의 원형을 보존한 방에 머물며 옛 정취를 느낄 수 있다. 락고재 제공
이곳은 MBC TV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2005년)에서 한국을 찾은 헨리 김(다니엘 헤니 분)이 머무르는 게스트하우스로도 나왔다. 햇볕이 쏟아지는 한옥 방에서 헨리와 유희진(정려원 분)은 장난을 하며 즐거운 한때를 보낸다.
이 한옥은 서울 종로구 가회동 재동초등학교 후문에 위치한 게스트하우스 ‘락고재(樂古齋)’. ‘옛것을 즐기는 집’이라는 뜻의 락고재는 한정식집, 김치·한복 체험 공간 등으로도 활용된다. 락고재는 김기덕 감독의 영화 ‘비몽’(2008년), MBC TV 예능 프로그램 ‘우리 결혼했어요’, SBS TV 드라마 ‘쩐의 전쟁’(2007년) 등에 단골로 등장했다.
락고재는 미국에서 컴퓨터엔지니어로 일하다 1992년 귀국해 외국인 대상 한옥 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하던 안영환 씨가 만든 공간이다. 그는 2003년 가회동 일대 한옥 2채와 일반 주택 2채를 구입했다. 한옥 2채 중 1채는 1870년대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집으로 일제강점기 한국사 연구 단체인 ‘진단학회’ 창설을 주도한 이병도 선생(1896∼1989)의 자택이었다. 안 씨는 인간문화재 정영진 대목장의 도움을 받아 한옥을 최대한 원형 그대로 보존하고 일부만 개수한 뒤 안방, 건넌방, 대청마루, 부엌으로 나눠 본채로 만들었다. 1950년대에 지은 또 다른 한옥은 마루와 방 2개가 딸린 별채로 만들었다. 일반 주택 2채는 모두 허물고 방이 딸린 정자와 주차장 등으로 바꿨다.
건물은 물론이고 마당의 수목, 정자, 연못 등을 옛 풍류에 맞게 세심하게 되살린 덕에 락고재는 내·외국인 모두에게 인기 있다. 안 씨는 “호텔과 달리 방이 개방된 구조인 만큼 락고재에 온 손님끼리 어우러져 놀 수 있는 재미가 있다”고 했다. 지하철 3호선 안국역 2번 출구에서 재동초등학교 방향으로 걸어서 2, 3분. 숙박료는 안방·건넌방 1박 25만 원(2인 기준), 정자방 30만 원(1인 기준), 별채 45만 원(방 2개 4인 기준)이다. 별채에 숙박 손님이 없을 때 미리 예약을 하면 한정식집으로 이용할 수 있다. 02-742-3410
손효주 기자 hjson@donga.com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최초 볼펜 ‘모나미 153펜’… 36억 자루 (0) | 2013.05.30 |
---|---|
[기고/신각수]일본의 지방이 강한 이유 (0) | 2013.05.29 |
전남도청 끝까지 지키던 시민군 이양현 씨의 ‘임을 위한 진혼곡’ (0) | 2013.05.27 |
“신군부, 5·18때 민간인 위장 군인 300명 광주 보내 선무공작” (0) | 2013.05.23 |
[시론/강용주]광주, 이제는 치유의 공동체로 (0) | 2013.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