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만 징용자 넋은 돌아오고 싶다
일본과 한국 정부가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각각 해외에서 수습한 자국인 사망자 유골의 수다.
일제강점기 피해 조사 및 유골 봉환을 담당해 온 국무총리실 산하 ‘대일 항쟁기 강제 동원 피해자 조사 및 국외 강제 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이하 대일항쟁기위원회)에 따르면 우리 정부가 11일 현재까지 해외에서 봉환한 일제강점기 강제 동원 피해자 유골은 일본에서 423위, 사할린에서 19위가 전부다. 이는 일본이 수습한 자국민 유골의 0.04%도 안 되는 수다.
학계는 일제에 의해 군인과 군무원, 노무자 등으로 강제 동원됐다가 해외에서 숨진 한국인 사망자를 최대 43만 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들 중 꿈에 그리던 고국으로 돌아온 유골은 정부 주도로 봉환한 442위를 포함해 약 9000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합국 총사령부, 민간, 일본 정부에 의해 봉환된 유골을 더한 수로 이 중 5000여 위는 한국인 여부도 확실하지 않다.
광복 70년을 맞는 오늘에도 42만여 명의 유골은 시베리아 동토, 태평양의 섬에서 흙이 돼 가고 있다. 한국 정부는 유골 봉환과는 별개로 유골 소재에 대한 실태 파악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대일항쟁기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한국인으로 확인된 해외 소재 유골은 1만5000여 위에 불과하다. 중국과 미얀마를 비롯해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군의 세력권에 흩어져 있을 유골 조사는 시작도 못 했다. 대일항쟁기위원회 관계자는 “한시 조직인 우리 위원회가 올해 말 활동을 종료한 이후에는 유골 조사와 봉환 업무를 담당할 곳이 사실상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반면 일본 정부는 1967년부터 300차례에 걸쳐 해외에 조사단을 파견하는 등 자국인 유골을 꾸준히 수습해 왔다. 최근에도 태평양전쟁 당시 전략적인 요충지로 일본과 사이판 사이에 있는 이오(硫黃) 섬의 동굴 조사를 위해 로봇까지 투입하는 등 적극 나서고 있다. 이오 섬에서는 조선인 137명도 사망했다.
대일항쟁기위원회 관계자는 “이오 섬의 137명 모두 야스쿠니(靖國) 신사에 합사돼 있다”며 “일본이 유해 발굴을 자국민들의 애국심을 높이는 도구로 활용하고 있는 만큼 우리 정부도 실태 조사와 유골 소재 국가와의 봉환 협의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조종엽 기자 jjj@donga.com
'광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아오지 못한 유골]6·25 전사자 4만명 유골도 北서 못 돌아와 (0) | 2015.08.12 |
---|---|
[돌아오지 못한 유골]광복후 60년간 정부 실태조사 全無… 日은 협조 요청 묵살 (0) | 2015.08.12 |
[광복 70년/숫자로 본 대한민국 어제와 오늘]<3>날개단 주식시장 (0) | 2015.08.12 |
[광복 70년/숫자로 본 대한민국 어제와 오늘]<2>눈부신 경제 발전 (0) | 2015.08.11 |
[광복 70년/숫자로 본 대한민국 어제와 오늘]<1>강해진 우먼파워 (0) | 2015.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