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앞둔 김씨, 호텔예식 상담 중 경악한 이유
호텔 결혼식의 꽃값이 비싸도 너무 비싸다. 서울 시내 한 특급호텔에서 사진처럼 꽃 장식을 하려면 2000만원이 든다. 그래도 초호화 호텔 결혼식을 열망하는 이들때문에 호텔결혼식은 예약이 줄을 잇고 있다.
결혼식에 드는 꽃값에 지나치게 거품이 끼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쓰고 난 꽃 재활용 의혹도
20일 동아일보가 서울 시내 특1급 호텔 4곳의 결혼식 비용을 조사한 결과 신라호텔서울에서 하객 500명을 초대해 예식을 올리려면 꽃값으로 최소 2000만 원을 지불해야 했다. 그랜드하얏트서울의 최소 예식비용은 9130만 원, 이 중 꽃값은 2000만 원이었다. 반얀트리클럽앤스파서울의 기본 꽃값은 1000만 원이지만 야외 예식에선 꽃값이 9000만 원까지 올라갔다. 그랜드인터컨티넨탈서울 파르나스의 꽃값은 1200만 원이었다.
꽃장식업계의 한 관계자는 “꽃 가격이 2000만 원인 경우 꽃 자체 가격은 500만 원도 안 되고 비싸봐야 700만 원”이라고 말했다. 호텔업계의 한 관계자는 “전체 꽃값 안에는 디자인장식비와 운송비, 관련 직원들의 인건비가 포함된다”며 “재료비만 가지고 가격이 싼지, 비싼지를 따져서는 안 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호텔업계의 이 같은 주장을 감안하더라도 2000만 원을 웃도는 것은 지나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반 결혼식장의 경우 꽃값은 100만∼300만 원 수준이다. 웬만한 결혼식장에서는 2000만 원으로 총비용을 치를 수도 있다. 꽃장식업계의 한 관계자는 “예식을 치르고 난 뒤 시들지 않은 꽃을 냉장고에 보관했다가 다음 예식 때 새 꽃과 섞어 재사용하기도 한다”고 귀띔했다.
▶[채널A 영상] 호텔결혼식의 낭만?…“이것도 장사…꽃 안 할 거면 예약 마라”
○ ‘끼워 팔기’가 더 문제
호텔들이 직영 꽃집의 제품만 사용하도록 하거나 특정 외주업체에 일감을 몰아주는 사례가 많았다. 쉐라톤그랜드워커힐의 꽃집 ‘블루밍코리아’의 대표는 최예정 씨로 SK 오너 일가의 친인척으로 알려졌다. 임피리얼팰리스서울의 꽃집 ‘라 꼬네뜨’의 대표는 신혜성 씨로 이 호텔 신철호 회장의 첫째 딸이다.
이들 호텔이 꽃집을 직영하거나 특수 관계자들과만 거래하는 이유는 높은 수익성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 플로리스트는 “꽃집을 생화판매업으로 등록하면 면세 혜택을 받는 데다 현금으로 결제하면 ‘세금 안 내는 현금 장사’가 된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지정 꽃집을 거부하면 예약을 받아주지 않는 호텔의 관행은 공정거래법상 ‘끼워 팔기’에 해당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꽃 장식과 예식이 별개 상품인데도 꽃 장식 없이는 결혼식을 올릴 수 없다는 점 △소비자가 꽃 업체를 고를 수 없어 소비자 선택권을 제한하는 동시에 꽃 업계의 공정 경쟁을 방해한다는 점 등을 그 근거로 꼽았다.
강유현 기자 yhkang@donga.com
김관 채널A기자 kwan@donga.com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중고생 처음 700만명 아래로… 통계청 2011년 사회지표 (0) | 2012.03.16 |
---|---|
삼성家 2세들 9120억대 상속재산 소송전 (0) | 2012.03.05 |
여배우, 재벌과 ‘하룻밤’ 거래에 2600만원 요구 (0) | 2012.02.12 |
나도 꼼수다! (0) | 2012.02.10 |
[광주/전남]전남 인구 8년만에 200만 회복하나 (0) | 2012.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