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광장/김병종]여행의 단계
김병종 화가·서울대 교수
쿵작쿵작 밴드 소리와 함께 거리에 울려 퍼지는 조용필의 노래는 이 계절이면 늘 우리 가슴을 설레게 한다. 올여름이 아니면 떠날 수 없기라도 하듯 TV 화면 속엔 여행자들로 빼곡하게 메워진 공항 풍경도 스친다. 가히 ‘엑소더스’라고 할 만하다. 그래서 ‘여행을 떠나요’라는 노래는 여행자의 군가와 같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굳이 노랫말이 아니더라도 우리 모두에겐 여행본능이 잠재되어 있다. 요절한 수필가 전혜린은 이를 ‘먼 곳에의 그리움’이라고 했고, 프랑스의 소설가 장 그르니에는 ‘이곳 아닌 저곳에의 열망’이라고 하지 않았던가.
실은 이 여름, 나도 꿈꾸어오던 아프리카 케냐 여행을 계획하고 있었다. 한동안 그곳에 관한 여행 자료들을 수집하다가 우연히 책 한 권을 집어 들게 되었다. 한 젊은 여행작가가 쓴 ‘하쿠나마타타 우리 같이 춤출래?’라는 책이었다.
내가 가려던 케냐 쪽은 아니었지만 이 책의 표지에 실린 ‘마음의 길을 잃었다면 아프리카로’라는 문장이 눈길을 끌었다. 아프리카의 원시와 야생에의 유혹이 아닌 ‘내 마음의 길’을 묻고 있는 도발적인 문장을 바라보고 있자니 묘한 감흥이 일어났다. 여행이 아니라 무슨 종교나 철학책 같다는 느낌이 들었던 것이다. 더 기를 죽인 것은 ‘여행에도 단계가 있다’는 에필로그였다. 흡사 80세쯤의 철학자가 통찰, 혹은 관조하며 써내려간 듯한 분위기의 글이었다. 예컨대 그 단계들과 부연설명이란 이렇다.
1단계, 새로운 곳에 가서도 거울을 보듯 나만을 보는 것.
2단계, 나를 떠나 ‘그곳’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
3단계, 그곳에 있는 것들과 ‘관계’를 맺는 것.
4단계, 내 것을 나누어 그곳을 더 아름답게 하는 것.
1단계의 여행자는 불만이 많다. 음식은 입에 맞지 않고 잠자리는 불편하며, 내 습관과 취향이 무시되는 것이 불쾌하다. 투자한 비용과 남겨진 추억 사이를 저울질한다. 2단계에 있는 여행자는 비로소 눈물을 흘린다. 한국에 ‘없는’ 건축물에 전율하고 한국에 ‘없는’ 그림 앞에서 목울대가 뜨거워진다. 자신이 우물 안 개구리였다고 느낀다. 현실에 지칠 때마다 지도를 펴놓고 ‘다음엔 어디에 갈까?’ 궁리하곤 한다. 3단계의 여행자는 먼저 말을 건다. 그곳에 사는 사람들에게. 그리고 다른 모습을 하고 있지만 결국은 크게 다르지 않은 ‘삶의 균등한 요소’들에 감동받는다. 고단한 발걸음은 이제 기도가 된다. 4단계의 여행자는 행동한다. 지구와 자신이 연결되어 있다고 느낀다. 자신의 성장을 위해 수혈을 아끼지 않은 지구를 위해 적으나마 자신의 피를 보태고 싶어진다. 이제 그는 지구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떠나도 떠나지 않은 것이고, 떠나지 않아도 떠난 것이다.
이쯤 되면 누구라도 가방을 꾸리다 말고 문득 ‘나는 몇 단계에 와있는 것일까’ 하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지 않을 수가 없다. 여행의 기록 자체는 젊은이의 글답게 통통 튀는데 이처럼 표지와 에필로그 글은 난처한, 그래서 피하고 싶기까지 한 질문을 던지고 있는 것이다. 깐깐한 면접관 앞에 선 듯 곤혹스럽기까지 했다. 짚어보니 나는 잘해야 1단계와 2단계 사이쯤에 머물러 있는 것 같았다. 그토록 세상을 헤집고 다녔건만 3단계의 문턱에도 이르지 못했음을 깨닫게 되니 입맛이 씁쓸했다.
꾸리던 가방을 다시 풀었던 것은 다른 자잘한 몇 가지 이유도 있었지만 ‘여행의 단계’가 한몫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물론 모든 여행이 나누고 헌신하며 더구나 거룩하기까지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적어도 우리보다 열 배 스무 배 어려운, 뼈 빠지게 일해도 저녁 한 끼가 자유롭지 않은 나라들을 향해 지도를 펼칠 때는 그 마음가짐이나마 세 번째, 네 번째 단계를 지향함이 옳을 것 같았다. 그 지점에서 나는 여행의 준비가 안 되어 있었던 것이다.
‘여행의 기술’을 쓴 여행철학자 알랭 드 보통도 “성숙한 여행자는 쉬는 시간마저도 빈자(貧者)를 생각하며 보낸다”고 말한 바 있거니와, 굳이 여행의 단계를 따지지 않더라도 어렵고 가난한 쪽으로 발길을 향할 때면 음미해 볼 만한 대목인 것 같다. 자유와 일탈, 해방을 꿈꾸며 너나없이 가방을 꾸리는 계절이지만 한번쯤은 멈춰 서서 여행의 의미를 되새김해 보는 것은 어떨까.
나 또한 언제쯤이면 보다 성숙한 여행의 단계에 오를 수 있을까 생각해본다. ‘그들’의 삶을 그냥 바라보고 구경하며 글과 그림으로 채집해 오려는 태도를 내려놓고 ‘그들’ 속으로 들어가 함께 울고 웃으며 하나가 되어볼 수 있을까.
올여름, 떠나지는 못했지만 이런 자각 하나를 얻은 것은 떠남 못지않은 소득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김병종 화가·서울대 교수
'동아광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아광장/전광우]문제는 지배구조야, 바보야! (0) | 2014.09.26 |
---|---|
[토요뒷談]참모의 품격 중시… 여성리더는 올드보이를 좋아해? (0) | 2013.08.13 |
[동아광장/남성일]노화경제에 ‘외국의 젊은 피’ 수혈을 (0) | 2013.05.07 |
[동아광장/김병종]어떤 치유의 길 (0) | 2013.04.07 |
[동아광장/김인규]전관예우는 범죄행위다 (0) | 2013.03.11 |